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경매/공매
  • 네이버블로그
  • 분류 전체보기 N
    • 매물 listing
    • 경매 auction N
    • 정보 infomation
    • 건축 architecture N
    • 세금 tax N
    • 책 book N
    • 여행 travel
    • 건강 health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책 book

  • 장호항

    2021.01.10 by 우중래객

  • 승부역

    2021.01.10 by 우중래객

  •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복자기나무

    2021.01.07 by 우중래객

  • 횡성 상동리 삼층석탑

    2021.01.07 by 우중래객

  • 만복사지

    2021.01.07 by 우중래객

  • 남해 보리암

    2021.01.07 by 우중래객

  • 남해 미조항

    2021.01.07 by 우중래객

  • 갑둔리 삼층석탑

    2021.01.04 by 우중래객

장호항

장호항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장호리 1

책 book 2021. 1. 10. 06:37

승부역

승부역 영동선의 철도역.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승부길 1162-5에 위치해 있다. 영주역 기점 69.2㎞. 이 역은 열차운전시행규칙 제7조에 따른 1명 근무지정역이어서 역장 혼자서 근무한다. 또한 역사에는 대합실 및 매표창구가 없으며, 상단 사진의 플랫폼에 위치하는 간이대합실을 사용해야 한다. 원래는 울진군 서면 전곡리에 속했지만 (울진군에 있는 유일한 역이었지만 생활권이 봉화인 관계로) 1983년 2월 15일자로 이 일대가 봉화군으로 넘어갔다. 옛날에 승부역이 속한 동네가 다른 동네보다 잘 살아서 부자들이 많이 산다고 부자마을이라고 불린 데서 동네 지명이 생겼다고 한다. 부자마을에 있어서 승부역. 승부역을 이용할 때는 승차권 단말기가 없기 때문에 차에 탑승한 뒤 차내에서 예매를 해야한다. 대신 차내대..

책 book 2021. 1. 10. 06:32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복자기나무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복자기나무 홍천군 북방면 북방리 화계초교 대룡분교 복자기 나도박달이라고도 한다. 숲속에서 자란다. 높이 15m까지 자란다. 나무껍질이 회백색이고 가지는 붉은빛이 돌며 겨울눈은 검은색이고 달걀 모양이다. 잎은 마주나고 3개의 작은잎으로 구성된다. 작은잎은 긴 타원형의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 바소꼴로 가장자리에 2∼4개의 톱니와 더불어 굵은 털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5cm이고 털이 있다. 꽃은 5월에 피고 잡성(雜性)이며, 3개가 산방상(揀房狀)으로 달리고 꽃가지에는 갈색 털이 있다. 열매는 시과(翅果)로 길이 5cm, 나비 1.5cm로 회백색이고 나무처럼 딱딱하며 겉에 센털이 밀생하고 9∼10월에 익으며 날개는 둔각으로 벌어진다. 가을에 잎이 붉게 물들어 아름답다. 목재는 가..

책 book 2021. 1. 7. 11:11

횡성 상동리 삼층석탑

횡성 상동리 삼층석탑 (上洞里 三層石塔) 강원도 횡성군 공근면 상동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21호이다. 1971년 12월 16일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21호로 지정되었다. 기단부가 땅속에 묻혀 탱주(撑柱)가 새겨진 면석 일부와 갑석만 남아 있는 상태이나, 신라시대에 흔히 볼 수 있던 이중기단으로 추측된다. 3층탑신은 사분원(四分圓)과 각형받침 위에 있고, 1층탑신에 비해 2층탑신의 높이가 급격히 줄어들었으며, 옥개석이 장중하고 원만한 형태를 띤 것으로 보아 신라 말기의 석탑 양식을 보이나 지붕돌의 너비가 좁고 두꺼워지는 등 양식상의 변화가 있다는 점에서 고려시대에 세워진 탑으로 보인다.

책 book 2021. 1. 7. 11:06

만복사지

만복사지(萬福寺址) 전라북도 남원시에 있는 고려시대 금동불입상·청자 등이 발굴된 사찰터. 총면적 3,200평. 1979년부터 1985년까지 7차에 걸쳐 전북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조사함으로써 많은 건물지가 확인되고 다수의 유물이 수습되었다.중요건물터로는 중문지(中門址)·목탑지(木塔址)·동서금당지(東西金堂址)·북금당지(北金堂址)·강당지(講堂址)·회랑지(廻廊址) 등이 발굴조사를 통해 밝혀졌고, 규모가 제일 큰 서금당이 동불(銅佛)을 모셨던 주불전(主佛殿)이었음이 밝혀졌다. 현재 절터에는 고려시대의 오층석탑(보물 제30호)과 석좌(石座, 보물 제31호)·당간지주(幢竿支柱, 보물 제32호)·석불입상(보물 제43호)·석인상(石人像) 등의 유물과 초석(礎石) 등 많은 석조물이 남아 있다.또한 발굴조사 때 토기를 비롯..

책 book 2021. 1. 7. 04:26

남해 보리암

보리암은 신라 신문왕 3년(683)에 원효대사께서 창건하고 수도하시던 절로서 금산(錦山)의 한복판에 관음봉을 기대고 위치한 유서 깊은 절이다. 바위의 장엄한 기운이 뭉쳐 의젓한 모습으로, 용을 타고 전후좌우 절을 하는 남순동자 바위와 관음조가 읊조리는 듯한 바위들을 거느리고 남쪽바다 용왕에 무슨 가르침을 내리는 듯하다. 보리암은 이런 바위들을 등지고 놓여 있다. 원래는 남해 보광산상 관세음보살 시현(示現)도량으로 그 옛날에 원효대사께서 이 산 이름을 보광산(普光山)이라 부르고, 동록(東麓)에 범우(梵宇)를 지어 보광사라 불렀다. 바위의 장엄한 기운이 뭉쳐 의젓한 모습으로, 용을 타고 전후좌우 절을 하는 남순동자 바위와 관음조가 읊조리는 듯한 바위들을 거느리고 남쪽바다 용왕에 무슨 가르침을 내리는 듯하다...

책 book 2021. 1. 7. 04:22

남해 미조항

남해 미조항 남해군의 미조면 미조리에 위치한 어항이자 미항(美港)으로 이름나 있는 항구다. 항구이름인 미조항은 ˝미륵이 도운 마을˝ 이라는 전설에서 유래했다. 미조항 주변에는 유인도(有人島)인 호도(虎島), 조도(鳥島)와 작은 섬 16개가 남항과 북항 주변에 위치하고 있다. 미조항은 예전에는 군항(軍港)으로 중요한 몫을 담당했던 군사적 요충지로서 미조마을 마을회관 앞바다에 있는 돌무더기는 수군(水軍)이 왜구와 싸울 때 방호물로 이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책 book 2021. 1. 7. 04:17

갑둔리 삼층석탑

인제 갑둔리 삼층석탑 麟蹄 甲屯里 三層石塔 강원도 인제군 남면 갑둔리 599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 117 호

책 book 2021. 1. 4. 23:4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05-13 04:17

페이징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7
다음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홍천읍 희망로 46
푸터 로고 © An Youngmo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